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
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

상상하는 모든 것을 이룰수 있는 대학

학생중심의 민주주의대학 상지대학교

서브비쥬얼 이미지

교육과정체계

교육과정체계 목록 - 교육목표, 인재상 정보 제공
교육목표
  • 폭넓은 인문·사회 지식의 학습으로 콘텐츠 전문가의 지성과 상상력을 기른다.
  • 다양한 문화·예술 체험과 공감을 통해 기획과 창작에 필요한 감성과 창의력을 키운다.
  • 첨단 정보기술 리터러시의 습득으로 혁신적 향유-공감-창작에 도전한다.
  • 이를 통해 기초창의역량과 구체융햡역량, 기획실행역량을 모두 갖춘 총체적인 콘텐츠 전문가로서, 창조적인 프로젝트 매니저(Project Manager)를 육성한다.
인재상
  • 문화콘텐츠의 기반 지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(지식/Konwledge)
    • 콘텐츠 일반에 대한 넓은 지식 및 특정 장르에 대한 깊은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, 취향 경제, 문화산업 시장에 대한 창조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
  • 다양한 콘텐츠의 기획, 창작, 활용 능력을 갖춘 실용적 인재(기술/Skill)
    • 지식의 습득에 머물지 않고, 알게 된것과 발견한 것과 깨달은 것을 바탕으로 기획, 창작, 제작, 유통, 소비 과정에서 가치 창출을 위한 개입과 실천을 할 수 있는 행동하는 콘텐츠 전문 인력
  • 사람을 존중하고 협력과 상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호혜적 인재(태도/Attitude)
    • 문화콘텐츠에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신뢰하고 타인을 존중하며,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이해심과 리더십을 갖추어, 탁월한 기획력과 창작력을 공동의 프로젝트로 구현하여 이끌어낼 수 있는 호혜적 프로젝트 매니저 양성
전공능력 전공능력1 기초창의 역량
  • 기초창의 역량은 학생들의 인문학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능력을 향상시켜 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되어 있음
  • 문화콘텐츠의 핵심인 원천 소스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토대로 이를 창의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역량임
전공능력2 구체융합역량
  • 구체융합 역량은 융합적 사고와 OSMU 기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음
  • 장르의 특성을 토대로 기초창의역량을 발휘하는 동시에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를 종합하여 구체적인 산물을 산출할 수 있는 기획자의 자질을 배양하도록 함
전공능력3 기획실행역량
  • 기획실행 역량은 학생들이 다양한 콘텐츠 산업과 지역사회의 문화적 아이템과 문제를 자기 주 도적으로 기획안을 제시하고,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되어 있음
  • 학생들 스스로 문화기획자로의 체험을 확장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취업과 창업을 위한 계획도 세워보도록 함
W3C(HTML)